중학독서논술 활동지

운영전

judy87 2008. 3. 23. 22:07

운영전

활동목표

-. 운영전(작품)의 시대상황을 이해할 수 있다.

 : 조선시대 연애, 궁녀의 삶, 양반의 봉건성 등

-. 운영전을 이야기 요약법으로 정리할 수 있다.

-. 운영전의 비극적 사랑에 대한 각자의 생각을 글로 쓸 수 있다.

대상학년 : 중학교 3학년

읽기전 활동

1. 운영의 신분은 궁녀입니다.

 조선시대 궁녀의 삶은 어떤 모습이었을까요?

2. 운영전의 두 주인공 운영과 김진사는 신분적 한계를 뛰어넘는 사랑을 하게 됩니다. 그러나 결국 그 사랑은 비극적 결말을 맺게 되죠. 이와 유사한 비극적 사랑의 이야기는 어떤 것들이 있을까요?

- 로미오와 쥴리엣

- 춘향전? (해피엔딩)

<내용파악 발문>

1. 운영과 김진사는 첫만남부터 서로에게 끌리게 됩니다. 그후 두사람은 서로에 대한 연모로 마음속 병에 들게 되며 안색이 수척해집니다. 이 사랑을 확인하기 위해 누가 처음 어떤 방법으로 행동으로 옮기게 됩니까?

- 운영이가

- 담벼락 구멍을 통해

- 편지 전달

2. 무녀의 집에서 상봉한 이후 김진사는 수성궁 서문 담장을 넘어 운영을 비밀리 만나 짙은 사랑을 나누게 됩니다. 이 사랑을 완성하기 위해 두사람은 모의를 하게 됩니다. 어떤 모의를 하게 되나요?

- 둘이 같이 도망간다.

- 그래서 운영이 사적인 재산을 외부로 빼돌린다.?

3. 2의 계획에 대한 친구 자란의 조언은 어떠했나요?

- 훗날을 도모해라

- 도망간다 한들 잡히게 되어있다.

4. 안평대군은 운영이와 김진사의 사이를 의심하게 됩니다. 어떤 계기로 의심하게 되나요?

- 운영의 시, 김진사의 시에서 각자의 마음을 확인한다.

- 소문을 듣게 된다.

5. 김진사의 노비 특이라 인물은 김진사의 심부름을 하는척하지만 사실상 속셈은 다른 곳에 있지요. 특의 속셈은 무엇이었나요?

- 김진사를 죽이고 운영과 자신이 함께 살고자 함

6. 운영은 자신이 의심받으므로 해서 서궁의 동무들을 함께 곤궁에 빠트리게 됩니다. 결국 죽음을 택하게 됩니다. 어떤 방법으로 죽게 되나요?

- 별궁에서 혼자 비단끈에 자결을 하게 된다.

7. 김진사는 이후 어떻게 되나요?

- 절에서 운영에게 제를 지낸뒤 사흘동안 먹지 않고 그대로 죽게 된다.

<주제확인 발문>

1. 주인공 운영의 신분은 ‘궁녀’입니다. 조선시대 궁녀의 삶은 어떠하였는지 책속의 지문을 인용하여 설명하시오.

2. PMI 기법을 이용하여 인물분석

1) 운영

- 자신의 사랑을 적극적으로 표현, 신분의 한계에 도전하며 떳떳한 인간으로 살고자하는 욕구가 강함

- 신분의 한계를 극복하지 못하고 죽음을 선택

- 먼저 김진사에게 편지를 전달

2) 김진사

- 문학적 재능, 신분적 한계를 지닌 사랑을 선택하는 용기

- 사랑을 이어나가기에 자질이 연약

사람을 쉽게 신뢰하여 노비 특에게 두 번이나 당함

- 단식하여 죽음

3) 안평대군

- 궁녀에게 학문을 시키는 진보성

- 궁녀를 한 인간이 아닌 자신의 소유물로 보는 봉건성

- 양면성을 지닌 인물

4) 이책에 등장하는 인물중 제일 나쁜 인물과 그 이유

- 안평대군

- 자신의 궁녀 한명을 포기, 두사람의 사랑을 맺어줄 수는 없었을까?

3. 결국 두사람은 사랑을 이루지 못하고 비극적인 죽음을 택합니다.

이 죽음의 의미는? 사랑의 한계를 인정하는 것입니까? 아님 죽음이라는 저항을 통해 사랑을 이어갈려고 하는 것입니까?

- 저항

- 인간답게 떳떳하게 사랑을 인정받고싶은 욕구가 운영에게 있었다.

4. 안평대군의 수성궁이 전후 조선시대에는 많이 황폐한상태였고 안평대군 성중과 비교할 때 매우 초라했습니다. 이 두 시절의 수성궁의 비유를 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글쓰기>

1. 두사람의 사랑의 결론, 결국은 죽음이었습니다.

이 두사람에게 죽음외에 다른 방법은 없었을까요?

자신이 이 두사람에게 사랑을 쟁취하기 위한 방법을 알려주고자 한다면 어떤 방법이 있을지 글로 써보세요.

'중학독서논술 활동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벙어리삼룡이  (0) 2008.04.19
기억속의 들꽃  (0) 2008.04.19
논이야기  (0) 2008.03.23
홍길동전  (0) 2008.03.23
홍염  (0) 2008.03.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