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학독서논술 활동지

세상에서 가장 무거운 틀니 - 박완서

judy87 2008. 3. 23. 21:55

< 읽기 전 >

♣ 배경 이해 : 70년대 한국 소시민의 삶의 형태, 상황

- 먹고 살기 힘듬

- 먹고 사는게 우선시 되는 시대였으므로(경제논리 우선) 모든 인권유린, 권리주장이 어려운 시기

- 이데올로기 경쟁으로 개인의 자율적인 주장, 차별적인 개체 인정하지 않음.

< 내용 확인 >

1. 그 여자와 내가 처음 대화를 나누게 된 계기

- 진창길에서 만남.

- 아이들을 데리러 A 여중으로 가는중

2. 그 여자의 딸은 어떤 신체적인 장애가 있는가

- 지체장애아 (절음발이)

3. 그 여자의 딸아이의 양육 모습 등을 책속 내용에서 찾아 써라

- 꿋꿋이 딸애를 업고 등교하는 모습,

- 소풍 때 절룩이는 아이를 소풍에 데려나오는 모습,

- 가까운 여중에 장애인 특전으로 입학하지 않은 모습

4. 설희 엄마와 내가 돈에 대해 공감대를 나누게 되는 계기

- 학교 어머니회에서 학교운영금 일만원 이상 기부하도록 한 사건

5. 설희 엄마(그여자)/ 연희 엄마(나)가 돈으로 하고 싶은 한가지는

- 그여자 : 딸아이 설희 미국같이 잘 사는 나라 데려가 수술 한번 받는 것.

- 나 : 이혼

6. 나는 언제부터 이혼을 생각했나요?, 이혼에 대한 내생각은?

- ‘그일’ 이후 변한 남편의 모습을 보게 된 후.

- 이혼으로 남편의 아내노릇과 두 아이의 엄마노릇으로부터 자유로워진다는 생각에 두려움

7. 사람(여자)과 사람(여자)이 가까워진다는 것을 책 내용에서 찾아 써라

- 상대의 한이 내 가슴에 와 닿은 것. (공감)

- 마음속 이야기를 할 수 있는 것.

- 자기보다 더 불행한 경우를 보도록 하는 것

8. 나에게 일어난 불길한 일 ‘그일’ 정체

- 6 25 때 의용군으로 나간 오빠가 이북에서 밀봉교육을 받고 곧 간첩으로 남한에 내려올 것이라는 것.

- 향후 수사에 협조하라는 정보기관의 당부.

9. 오빠에 대한 나의 생각, 이생각이 잘 나타난 부분 (책속)

- 간첩이 된 오빠와의 만남이 몰고 올 사건이 두려운 나머지 18평집의 평화로움이 너무 소중한 나머지 오빠가 차라리 오다가 사라졌으면 하는 생각이 강함

10. 그일 이후 남편의 반응

- 점점 거칠어지며 술을 마시고 들어오는 날이 잦아짐.

- 간첩 처남 때문에 공무원인 그의 승진은 물넘어감.

- 나를 징그러운 문둥이를 대하듯 함.

11. 나는 그여자를 김포공황에서 배웅한다. 배웅후 나의 틀니가 쑤시기 시작한다. 집에 오자마자 틀니를 빼고 자유로움을 느끼는 듯했으나 어떤 일이 있었나?

- 틀니의 통증에서 벗어나기위해 틀니를 빼고 자유를 느끼며 누워있었다.

- 틀니를 빼고 누워있을때 누가 찾아온다. 이때 든 내 생각은 분명히 오빠가 찾아왔다는 것.

13. 틀니를 뺀 후에도 턱에서 느끼게 되는 통증의 본질

- 내 아픔은 틀니에서 비롯된 것이 아님

- 설희 엄마가 부러워서 이나라의 온갖 억압으로부터 자유로워진 그녀가 부러워서 질투로 아펐던 것.

- 그걸 틀니 탓으로 돌림.

< 주제 확인 >

1. 틀니의 상징적 의미

- 틀니'는 나를 고통스럽게 하는 것으로 표면적으로는 신체적 고통의 원인이지만, 이면적으로는 삶이 주는 정신적 통증의 원인임을 암시하고 있다.

- 정신적 통증은 의용군으로 참전했다가 돌아오지 않은 오빠로 인한 가정 생활의 파탄 위기, 나라가 조는 온갖 제약, 설희 엄마가 자유를 얻었다는 데 대한 선망과 질투에서 비롯된 것이다.

2. 설희엄마와 나는 처음 진창길에서 아이 학교로 가는 도중 만나게 된다.

작품내 ‘진창길’의 상징적인 의미

- 작품에서 '진창길'은 '살아가는데 말도 많고 탈도 많고 거치적거리는 것도 많은 놈의 세상'을 의미한다. 한번 빠져서는 헤어나기 힘든 삶의 고단함,

- 여기서는 오빠의 문제가 '나'의 삶을 진창길로 만들어 살아가기 힘들게 함을 의미한다.

3. '나'와 설희 엄마는 모두 그들이 속한 사회와 시대가 주는 무게로 고통받고 있다. '나'의 경우 6 · 25 전쟁이라는 상황 때문에 이북에 있는 오빠로 일상생활이 파탄나는 고통을 지닌다. 설희엄마는 어떤 삶의 고통을 갖고 있나?

- 생계, 즉 경제적인 문제와 신체 장애인에 대한 사회의 제약을 삶의 고단함으로 작용한다.

- 신체 장애가 있는 딸에 대한 안타까움과 설희를 미국으로 데려가 수술을 받게 하고 싶지만 생활이 여의치 않아 그렇게 하지 못하고 있다는 문제를 가지고 있다.

4. 다음의 내용에서 느낄수 있는 나의 심정은?

그는 나에 대해 너무도 많이 완벽히 알고 있었다. 그 앞에 내 기억력은 새벽녘의 별들처럼 희미할 수밖에 없었다. 내 기억으로는 내 외당숙의 이름이 조성구였는데. 그가 조정구라고 하니 아마 조정구가 틀림없다 싶었다. 그가 설사 내 딸 연이를 현이라고 했다면 아마 내 딸은 현이가 틀림없을 것이다

-‘나’의 가계(家系)와 내력을 샅샅이 알고 있는 정보 요원으로부터 받은 위축감과 무력감의 표현이다.

5. 다음의 내용에서 느낄수 있는 나의 심정

“말이 자수지 그놈이 벌써 마흔인데……. 그곳에 마누라나 자식이 있을 리 없을 테니. 그놈이 이 어미 말을 들을까? 마누라나 자식 생각이 앞설 테지. 그럴 바엔 차라리 넘어오다…….”

어머니는 말끝을 흐리고 눈물을 닦았다. 

-모자(母子)간 또는 오누이의 혈연이 맺어 준 정분(情分)도 분단이라는 냉엄한 현실 논리에 의해 뒷전에 밀리는 비극적인 상황을 잘 드러낸다.

6. 작품에서 '설희 아빠가 미국의 보험회사에 취직을 했다'는 것은 무엇을 의미하는가?

- 생활고로 인해 화가로서의 예술에 대한 야망이 물거품이 되고, 생활 · 생계에 매이게 되었다는 것을 의미함.

7. 이 작품은 대부분 사람답게 사는 것을 허용하지 않는 병든 사회에서 개인이 겪게 되는 좌절과 패배, 이러한 현실에 대한 깨달음과 반항, 반항의 좌절 등에 관한 것이다.이 작품에는 몇 가지 의미 있는 사건들이 서로 긴밀한 관련이 없는 듯 제시되고 있다. 어떤 사건들이 나오는가?

- 장애인 자녀를 둔 부모의 문제,

- 예술을 포기하고 일상의 삶 속으로 빠져드는 절망감,

- 가족 간의 알력, 이민에 대한 판단,

- 오빠가 간첩으로 파견되리라는 데서 오는 감시 등.

8. 위의 개별적인 사건들은 떨어져 있는 듯하면서 실상은 모두 ‘나’에게 집중되어 있다. 이러한 사건은 작품에서 어떤 식으로 주제를 강화시키나?

- 이들은 인간이 살아가며 받을 수밖에 없는, 또 우리 시대를 살아가는 사람들에게 주어지는, 삶의 무게의 한 표상인 것이다.

- 그러한 삶의 무게를 견디며 하루하루를 살아가는 것이 바로 소시민들의 삶이며, 우리 시대를 살아가는 사람들의 현실인 것이다.

9. 그렇다면 무엇이 오늘 우리의 사회를 이렇게 사람다운 사람이 발붙이고 살기 힘든 황폐한 고장으로 만들어 버렸는가?

- 복잡하게 얽히고 설킨 원인과 숱한 사연들이 있겠으나, 그 결정적인 원인 가운데 하나는 오늘 우리의 사회가 분단된 나라의 냉전 사고방식 위에 서 있는 사회라는 사실에서 찾아질 수 있을 것 같다.

- 이 작품은 분단 시대의 냉전적 현실 구조가 어떻게 사람들의 삶을 위축시키고 황폐화시키는지를 극명히 밝혀 보여 준다.

< 논 술 >

♣ 내가 만약 이 작품속 주인공과 같은 처지라면

- 70년대 소시민

- 직계 가족중 북에서 남파될 간첩이 있는 상황

- 남편(또는 가족)이 이로 인해 불이익을 받고 있는 상황

여러분은 ‘세상에서 가장 무거운 틀니’를 어떤 식으로 극복하며 생활할 수 있을까?

(주인공 ‘나’는 이혼을 생각하기도 하며, 이웃집 설희 엄마의 이민을 부러워하며 질투하기도 한다.)

70년대는 반공 이데올로기가 국가 전반을 지배했던 시기로, 이 작품에서도 당시의 사회상이 반영되어 있다. 주인공인 ‘나’는 북한 의용군 출신의 오빠가 간첩으로 곧 남파될 것 같다는 사실 때문에 정보 기관에 연행되고 남편이 승진길에서 좌절하는 등의 불행을 겪는데, 이러한 현상들은 당시에도 존재했던 일종의 ‘연좌제’를 떠올리게 한다. 연좌제란 가족 중에 6 25 때 월북했거나 부역을 한 경우 취업의 제한을 받는 등의 불이익을 받는 제도였다.

'중학독서논술 활동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홍염  (0) 2008.03.23
유예  (0) 2008.03.23
에밀리에게 장미를 - 윌리엄포크너  (0) 2008.03.23
***나는 선생님이 좋아요 - 하이타니 겐지로  (0) 2008.03.23
*삼포가는 길  (0) 2008.03.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