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주바쁜 입
< 학생용 활동지 >
♠ 우리의 입은 무엇으로 구성되었을까요?
아주
바쁜 입
♠ 입속에는 우리 몸 가운데에서 가장 단단한 가 있다.
이것은 마치 땅 속에 박힌 말뚝 같아.
땅이 흔들리거나 말뚝에 금이 가면 말뚝은 쓰러지고 말지.
이런 일이 벌어지지 않도록 이는 몇 겹의 층으로 되어 있어.
무엇으로 되어있을까?
이의 가장 바깥 부분, 우리 몸 가운데에서 가장 단단하다
누런색을 띠고 있고 에나멜질보다 조금 덜 단단하다.
잇몸에 단단하게 박혀있다.
가는 혈관과 신경이 분포되어있고 턱뼈와 연결되어있다.
♠ 태어났을 때 입 속에는 단 한 개의 이도 없다.
태어난 지 정도 지나야 겨우 아랫잇몸을 뚫고 나오는 것이
앞니 2개.
이렇게 나기 시작한 젖니는 3살 정도 되면 쯤 된다.
시기 이의 갯수 무슨 일이 있을까? 갓 태어났을 때
3살 때
7살 때
0개
2개
32개 으 앙
나 좀 봐요.
이가 났어요.
엄마!
나 이 다 났어요.
♠ 이는 어떻게 썩게 될까? 그림을 보고 동그라미를 채워보세요.
음식물찌꺼기가
남았다.
드디어 구멍이
뽕
♠ 우리의 이는 각자 역할이 있어.
어떤 역할을 하는지 알아볼까? 네모 빈칸을 채워볼까?
이 구분 어디에 비유할까 무슨 일을 하지 앞니 가위 아삭아삭 오이를 잘라 입속으로 쏙 송곳니 질긴 고기는 내게 맡겨. 맷돌 내가 맷돌처럼 음식 알갱이를 더 잘게 갈아야 삼킬 수 있지 작은 어금니 음식을 부숴야지, 쿵쿵!
♠ 단단한 이가 있어서 음식을 조각내고 부술 수 있다면,
부드러운 혀가 있어서 음식을 맛보고 삼킬 수가 있다.
혀의 하루가 얼마나 바쁜지 알아볼까?
첫 번째,
입으로 들어온 음식을 데굴데굴 굴려서 검사를 하는 거야
이가 음식을 다 부쉈는지, 삼켜도 좋은지 알아보는 거지.
두 번째,
드디어 삼키기 직전이야. 잘못하면 음식이 숨구멍으로 들어가거나
입 밖으로 튀어나올 수가 있으니까 조심해야 해.
먼저 혀끝이 입천장을 떠밀고 뒤쪽으로 구부리지. 그런 다음
목구멍을 겨냥해서 슛, 골인! 세 번째,
음식을 삼켰다고 해서 일이 다 끝난 건 아니야. 혀는 이쑤시개처럼
잇새를 돌아다니며 이에 달라붙은 음식 찌꺼기들을 닦아 내는
일까지 하는 걸.
♠ 혀에 대해 알아 볼까? (①,② 에 적합한 낱말은)
혀의 표면 : 점막으로 덮여 있지.
① : 전자 현미경으로 들여다 본 혀는 우툴두툴하다.
빽빽하게 들어찬 1만여 개의 돌기들 때문이지.
돌기 옆에는 맛을 느끼게 하는 이것이 있어.
미각 신경 : 맛, 온도, 통증 등 여러 가지 느낌에 대한 정보를 뇌에
전달해.
우리는 아이스크림의 맛을 어떻게 느낌 수 있는 것일까?
먼저, 혀끝으로 아이스크림을 물처럼 녹인다.
물처럼 녹은 아이스크림이 ① 에 붙는다.
맛 정보가 얼기설기 퍼져 있는 신경을 따라 ② 로 전달된다.
② 가 말한다.
‘음, 이건 아이스크림이군. 그것도 아주 맛있는 바닐라 아이스크림!!’
그러니까 우리가 맛을 느끼기 위해서는 ② 가 필요하다.
① : ② :
♠ 음식을 입에 넣는 순간,
우리는 네 가지 맛의 왕국을 여행하는 여행자가 된다.
이 왕국들은 단맛, 쓴맛, 신맛이라는 이름으로 각자의 영토를 지키고 있지.
맛은 혀 전체에 퍼져 있는 방랑객이야. (왕국의 이름을 적으세요)
○○ 왕국
○○왕국 ○○왕국
○○ 왕국
♠ 그럼 사람은 네 가지 맛만 구별하는 걸까? 아니야.
그럼 어떻게 다른 맛을 구별해 내는 걸까?
♠ 하지만 어떤 음식도 이 살살 녹여 주지 않으면 아무 맛도 느낄 수 없다. 우리 입 안은 세 쌍의 에서 나오는 으로 항상 젖어 있다.
♠ 침의 비밀을 알아볼까?
음식을 침이 많이 고인다.
때로는 만 맡아도 입 안에 침이 고인다.
때는 침이 적게 나온다.
♠ 오랫동안 사람들은 자기가 맛있다고 여기는 음식은 남들도 맛있어 할 거라고 생각했다. 그렇지만 맛있다는 느낌은 ,
조금씩 다를 수 있다.
♠ 동물의 이빨이나 혀는 어떤 역할을 할까?
다음의 동물들을 생각하면 어떤 역할을 할지 잘 알수 있어요.
① 호랑이 :
② 다람쥐, 코끼리 :
③ 개구리, 뺌, 개미핥기 :
♠ 그럼 우리는 동물들처럼 강하고 긴 이빨이 없는 이유가 무엇일까요.
♠ 우리는 와 을 움직여서 140여 가지 소리를 만들어 낸다.
우리 입에서 나오는 것 가운데 가장 멀리까지 가는 것은 .
특히 산악 지방에서는 골짜기마다 휘파람으로 서로 신호를 한다.
그런데 우리 입에서 나온 말은 공중으로 흩어져 곧 사라져 버린다.
그래서 말을 붙들어 두려고 만들어 낸 것이 바로 이다.
♠ 입술로 할 수 있는 것 세가지
혀와 함께 소리 만들기
다양한 만들기 (웃고, 찡그리고 ...)
으로 사랑의 맘 전하기
♠ 각각 배역을 정해 기자와의 인터뷰 시간을 갖겠습니다.
기자 : 안녕하세요? ‘이’씨.
입에는 이씨 말고 혀, 침, 입술 등의 친구들이 있습니다.
그중에서 누가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나요?
이 : 물론 나 ‘이’죠.
기자 : 그렇습니까? 그럼 어떤 이유에서 가장 중요한지 친구들에게
설명을 해주십시오.
이 :
기자 : ‘혀’씨가 보기에는 ‘이’씨의 말이 타당하다고 생각하십니까?
혀 :
기자 : 그 이유는 무엇입니까?
혀 :
기자 : 그럼 ‘침’씨와 ‘입술’씨에게도 동일한 질문을 해보겠습니다.
먼저 ‘침’씨부터 답변해 주세요.
침 :
입술 :
표지.
< 아주 바쁜 입 >
글 신순재/ 그림 이형진
♠ 독서 지도사의 입장에서 책을 읽고 학생들과 어떤 활동을 하면 좋을지 적절한 활동 아이디어를 구상하세요
1. 도표중심 활동지를 통해 도서 내용을 확인
2. 마인드 맵으로 최종 정리
3. 인터뷰
4. ‘입’에 대한 백과사전 만들기 (준비물: A4 용지 한 장)
5. 아주 바쁜 입에게 고마움의 편지쓰기
6. 친구에게 책내용 소개하는 글 쓰기
작성자 : 유 은 정
♠ ‘입’에 대한 백과사전 만들기
▶ 준비물 : A4 용지 한 장
▶ 지도 시 유의사항
만들기는 시간이 많이 걸리지 않고 만들기 편리하며 다 만든 작품보다
그 내에 들어갈 내용에 중점을 둘 수 있도록 지도한다.
▶ 만드는 방법
① A4용지 한 장을 팔 등분 한다.
② 가운데 부분을 잘라서 네모 모양으로 만든다.
③ 그 내에 백과사전의 내용을 채워 넣는다.
♠ 아주 바쁜 입에게 고마움의 편지쓰기
책을 통해 입안의 모든 부분이 우리 몸에 없어서는 안 될 중요한 역할을 맡고 있으며 우리의 감정을 표현하고 의사소통을 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습니다. 이제 우리 몸의 고마운 ‘입’에게 고마움의 편지를 써보세요.
만약, 그간 입에 잘 못 해온 것이 있다면 함께 사과하고 앞으로는 어떻게 할 것인지 구체적으로 적어주세요.
☺☻☺☻☺☻☺☻☺☻☺☻☺☻☺☻☺☻☺☻☺☻☺☻☺☻☺☻☺☻☺☻☺☻☺
아주 바쁜 입에게
○○○ 보냄
☺☻☺☻☺☻☺☻☺☻☺☻☺☻☺☻☺☻☺☻☺☻☺☻☺☻☺☻☺☻☺☻☺☻☺
♠ 친구에게 책내용 소개하는 글쓰기
‘아주 바쁜 입’을 읽고 싶은 친구들이 많아요. 그 친구들에게 이 책에 대한 소개를 해주세요. 그 소개에는 다음의 내용이 들어가야 합니다.
-. 우리의 입속에 있는 기관들
-. 각 기관별 역할과 특이사항
-. 동물의 이빨과 혀가 인간과 다른점